네트워크
-
인터넷 속도 단위 Mbps와 MB와의 관계네트워크 2019. 11. 14. 10:14
요즘 기가 인터넷이 유행입니다. 인터넷 속도가 기가라고 엄청나게 광고를 하죠. 그 광고를 보면 1초당 1기가의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하지만, 절대 그 정도의 속도가 나오지 아닙니다. 이유는 파일 송수신할 때의 단위와 인터넷 속도의 단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인터넷 속도의 단위는 Mbps입니다. Mega Bits Per Second의 약자로, 1초당 전송하는 Mega Bit의 양입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속도가 100Mbps라고 하면 1초당 100 Mega Bits를 전송한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파일의 크기는 Byte를 단위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3MB 크기의 파일이라고 하면 3 Mega Bytes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인터넷 속도에서의 100메가와 파일 크기에서의 100메가는 크..
-
CISCO 스위치 err-disable네트워크 2019. 10. 17. 10:01
err-disable 된 포트 해결 방법은 아래와 같이 간단(?)하다. 1. 스위치 접속 2. privilege mode 변경 3. conf t 4. interface Fa0/1 5. shutdown 6. no shutdown 7. end 좀더 자세한 설명은 CISCO 사이트에 설명된 내용참조.. Cisco 스위치 포트 상태 : 오류 Errdisable의 원인 이 기능은 스위치가 포트에서 과도한 충돌 또는 늦은 충돌을 감지 한 특수 충돌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처음 구현되었습니다. 스위치에서 16 번의 충돌이 발생하여 프레임을 떨어 뜨릴 경우 과도한 충돌이 발생합니다. 와이어의 모든 장치가 와이어가 사용 중임을 인식 한 후 늦은 충돌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오류의 가능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양..
-
OpenVPN 브리징네트워크 2019. 10. 8. 15:48
OpenVPN 브리징 OpenVPN은 라우팅 모드 와 브리지 모드 의 두 가지 작동 모드를 허용 합니다 . 이 기사는 후자에 관한 것입니다. 브리지 모드 는 VPN 터널이 IP 패킷 (최대 1500 바이트)이 아닌 전체 이더넷 프레임 (최대 1514 바이트)을 캡슐화 함을 의미합니다. 그 자체로 VPN 트래픽에 약간의 오버 헤드가 추가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OS의 특정 구성 (나중에 설명)과 함께 VPN과 사용자를 데이터 링크 수준에서 실제 물리적 이더넷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전체 시스템 (이더넷 네트워크 + VPN)을 효과적으로 전환 할 수 있습니다 )를 단일 브로드 캐스트 도메인으로 브리징? 이 질문은 누군가가 브리지 VPN 구성에 대한 조언을 요청할 때 정기적으로 나타납니다. 브리지 모드는 레이어 ..
-
L2 스위치 기본 동작 원리네트워크 2019. 10. 8. 15:34
스위치가 하는 기능은 허브와는 달리 주소인식 기능이 있어서 스위치가 스위칭테이블이라고 하는 주소테이블(FDB)을 참조하여 입력되는 패킷의 MAC주소를 보고서 해당되는 포트로 패킷을 전송한다. Mac Table에 등록가능한 Mac 주소의 갯수는 스위치의 메모리양에 따르며 스위치에 따라 수천에서 수십만개까지 가능하다. 그럼 이제 한번 살펴보도록 하자. 위 그림은 이더넷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단말에서 패킷이 스위치의 특정포트로 입력되면 각 수신 Frame의 Destination Address를 검사한다. Address Mapping Table을 참조하여 Output port 를 결정한다. Switching장비는 MAC FDB(Forwarding Database)을 통하여 Port별 접속된 MAC 정보..
-
OpenVPN 클라이언트 failover네트워크 2019. 10. 8. 10:36
OpenVPN 클라이언트에서 여러 원격 서버를 구성 할 수 있다. 첫 번째 서버에 연결할 수 없으면 두 번째 서버가 사용된다. 이는 OpenVPN 서버 배포와 함께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에 자동 장애 조치를 제공 할 수 있다. OpenVPN 서버 포트 443를 사용하여 IP 주소 10.0.0.1 443 tcp , 10.0.0.2 443 tcp에서 실행중인 remote 경우 클라이언트 구성 파일의 행은 이렇다. remote 10.0.0.1 443 tcp remote 10.0.0.2 443 tcp 이는 OpenVPN 클라이언트가 장애를 감지하고 다음 서버로 전환하는데 최소 60초가 걸립니다. 클라이언트가 두 번째 서버 IP 주소에 연결되면 연결이 끊길 때까지 터널이 유지된다.
-
VPN 터널링 이란 ?네트워크 2019. 8. 29. 16:39
실제로 여러 홉을 거쳐서 가야하는 목적지를 마치 다이렉트로 땅굴을 파서 다음 홉에 있는것처럼 보이게 하는 기술이다. 클라이언트 -> VPN 서버로 인증을 받아야 터널리 생성된다. 실제로 클라이언트에서 VPN 서버로 인증을 받기 위해 거쳐야하는 홉(라우터, L3 스위치)가 있다. 인증을 받고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터널이 생성되면 tracert로 확인을 해보면 거쳐가는 홉들이 사라지고 VPN 서버 게이트웨이가 다음홉으로 나오게 된다. 일단 터널이 생성되면 그안에 원래 내용은 캡슐화 및 암호화가 되기때문에 중간에서 패킷을 가로채도 암호화 키가 없으면 복호화가 불가능하게 된다. 국가의 검열 , 스니핑 , 감청 , 방화벽 등을 우회하기 위해 VPN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
-
iTerm2 화면 분할네트워크 2019. 6. 10. 09:21
맥 OS에서 많이 쓰이는 iTerm2 사용하는데, 동일한 구조의 서버 여러대에 접근 및 작업(또는 로그 모니터링)시 유용하다. 1. 좌우 분할 (Shell > Split Vertically with Current Profile) - command + d 2. 상하 분할 (Shell > Split Horizontally with Current Profile) - command + shift + d 3. 현재 탭 모든 분할 화면 동시 입력 - command + alt + i - (해제) shift + command + alt + i 4. 화면 이동 - command + alt + 화살표 출처: https://huzz.tistory.com/26